노인성 우울증 원인,증상, 치료 방법 그리고 치매 연관성 알아보기
<목차>
1. 노인성 우울증이란?
2. 노인성 우울증 원인
3. 노인성 우울증 증상
4. 노인성 우울증 치료
5. 노인성 우울증과 치매의 연관성
1. 노인성 우울증이란?
노인성 우울증은 식욕 저하, 불면증 혹은 과도한 수면, 집중력 저하, 의욕 저하 등등의 일반적인 우울증과 대부분의 증상은 유사합니다. 그러나 정서적이 고통을 호소하는 우울증과 달리 노인성 우울증은 삶의 공허함을 느끼며 두통, 소화 불량 등등 신체적인 증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납니다.
2. 노인성 우울증 원인
일반 우울증의 경우 대부분 명확한 요인으로 인하여 발병하는 반면 노인성 우울증의 경우 원인이 명확하지 않고 복합적인 요인들로 인하여 발병하게 됩니다. 노인성 우울증을 유발하는 복합적인 원인으로는 다음과 같은 요인들이 있습니다.
2.1 생물학적 변화
나이가 들어가면서 뇌구조와 호르몬의 균형이 달라지게 됩니다. 특히, 세로토닌, 노르에피네프린, 도파민과 같은 신경 전달 호르몬의 균형이 깨지면서 우울증에 취약해질 수 있습니다..
2.2 신체 건강 저하
나이가 들면서 당뇨, 심혈관 질환, 관절염과 같은 만성 통증 등으로 인하여 신체활동이 저하되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활동의 제약이 생기면서 노인들의 우울감이 크게 증폭될 수 있습니다.
2.3 심리적 요인
사별, 은퇴, 사회적 역할 상실, 고립감, 자녀의 독립 등 그동안 살아왔던 삶의 목적이라고 생각되는 부분들의 상실은 우울증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2.4 사회적 요인
노년기에 들어서면서 사회적 활동 감소, 경제적 어려움, 사회적 고립감 등이 흔히 나타나는데 이는 우울증을 발생시키는 요인이 되거나 악화를 촉진할 수 있습니다.
정리해 보면 과도한 스트레스로 인하여 우울증이 발생하는 젊은 사람들과 달리 노년 우울증은 삶의 무료함, 삶의 목적 상실, 경제적 어려움으로 오는 무기력함 그리고 호르몬 불균형으로 인하여 발병될 수 있습니다.
3. 노인성 우울증 증상
보통 우울증 환자들은 다음과 같은 증상들을 보입니다.
- 지속적인 공허함/절망/슬픔 등의 부정적 감정을 느낌
- 모든 삶의 활동에서 느끼는 흥미나 즐거움이 현저하게 떨어짐.
- 식욕의 변화로 인하여 체중이 감소하거나 증가함.
- 과도한 수면 혹은 불면증 발생
- 마음이 불안하고 생각이나 행동이 느려짐
- 거의 매일 피곤해하며 삶에 의욕이 없어 보임
- 본인에 대한 불필요한 죄책감 혹은 자존감이 현저히 낮아짐
- 죽음에 대한 생각을 빈번하게 함.
이러한 우울증 증상 외에도 노인성 우울증은 추가적으로 다음과 같은 신체적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두통, 관절통, 소화 불량 등의 원인을 알 수 없는 신체적 통증
- 기억력/ 집중력/결정 능력 감소와 같은 치매와 유사한 인지 증상이 나타남(치매와 달리 우울증 치료되면 호전될 수 있음)
4. 노인성 우울증 치료
4.1 초기 우울증
초기 우울증의 경우 약물 치료 없이 심리 상담이나 생활 습관 개선 등을 통해 충분히 개선될 수 있습니다.
4.2 중증이상의 우울증
우울증이 중증 이상의 경우에는 약물 치료와 심리 상담 등을 병행해야 합니다. 약물 치료에는 항우울제가 사용됩니다.
4.3 가장 중요한 것은 가족의 역할
우울증 완화에 약물 치료도 중요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가족들의 역할입니다. 가능하면 자주 우울증 환자와 함께하는 시간을 가져주셔야 합니다. 또한, 노인 복지관 등의 사회적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규칙적으로 가벼운 산책등과 같은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이끌어 주어야 합니다.
- 가능하면 함께하는 시간을 자주 가질 것
- 노인 복지관 등의 사회적 활동 기회 마련 해주기
- 규칙적인 운동 하기 ( ex 가벼운 산책 등)
5. 노인성 우울증과 치매의 연관성
노인성 우울증이 치매를 동반하거나 진행된 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노년기 우울증을 조기에 발견하지 못하거나 방치하게 되면 뇌 기능 저하로 인하여 알츠하이머, 즉 치매로 진행될 가능성이 2배 높아지게 됩니다. 노인성 우울증으로 인하여 치매와 매우 유사한 인지 기능 저하, 기억력 감퇴, 집중력 저하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증상들은 우울증이 치료되면 사라질 수 있습니다. 다시 정리하자면 노인성 우울증이 반드시 치매를 동반하는 것은 아니지만 방치하게 되면 발병 확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