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에 좋은 음식과 영양 성분/생활 꿀팁

선크림 부작용/눈시림 피하는 방법과 오랫동안 자외선 차단되는 선크림 고르는 방법

반응형

시중에는 다양한 자외선 차단제 성분들을 배합하여 만들어진 선크림들이 있습니다. 그런데 선크림을 바르면 뾰루지가 올라오거나 눈 시림이 발생하여 고생하는 분들이 꽤 있습니다. 이런 경우 본인이 직접 본인에게 적합한 성분의 선크림 찾아야 선크림 구매에 실패가 없습니다. 선크림 성분 각각의 특성을 알아보고 마지막으로  물에 강한 선크림, 피부에 자극이 적은 선크림, 태양 빛에 노출돼도 오랫동안 자외선 차단 기능을 유지하는 성분, 눈 시림을 유발하는 성분에 대해서 정리해 보겠습니다. 

 <목차>
1. 화학적 자외선 차단 성분들
2. 물리적 자외선 차단 성분들 
3.내 상황에 참고하면 좋은 성분 정리
    3.1 물 놀이 용 자외선 차단제 필수 성분
    3.2 민감성 피부에도 비교적 안전한 성분
    3.3 태양 빛에 노출되어도 상대적으로 오랫동안 자외선 차단 기능을 유지하는 성분
    3.4 눈 시림 유발 성분

1.    화학적 자외선 차단 성분들 (=유기자차)

 

1.1  드로메트리졸

(1)   특징

UVA(=PA) 차단 효과가 뛰어나며 햋빛에 노출되어도 자외선 차단 기능이 비교적 오랫동안 유지 됩니다. 또한 민감한 피부에도 자극이 적은 편입니다.

(2)   단점

UVB(=SPF) 차단 효과는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습니다.

1.2  드로메트리졸트리실록산

(1)   특징: 드로메트리졸의 업그레이드 버전으로 발림성을 개선한 성분입니다.

(2)   단점: 가격이 다소 비쌀 수 있습니다.

1.3  디소듐페닐디벤즈이미다졸테트라설포네이트

(1)   특징: UVA(=PA) 차단 효과가 우수하며, 땀이나 물에 쉽게 지워지지 않습니다.

(2)   단점: UVB 차단 효과는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습니다.

1.4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1)   특징: UVB(=SPF) 차단 효과는 우수하지만, 민감한 피부에 자극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햇빛에 노출시 자외선 차단 성능이 쉽게 저하됩니다.

(2)   단점: 피부 자극이 강한편이고 햇빛에 노출 시 쉽게 기능이 떨어짐

1.5  디에칠헥실 부타미도 트리아존(=유비놀 A 플러스)

(1)  특징: UVB(=SPF), UVA(=PA) 모두 차단하며 햇빛에도 강해 쉽게 오랫동안 자외선 차단 기능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피부 자극도 낮은편입니다.  광안정성이 우수하며, 민감한

(2)   단점: 가격이 다소 비쌀 수 있습니다.

1.6  디에틸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1)   특징: UVB 차단 효과가 뛰어난 유기 자외선 차단제 성분입니다. 흡수력이 좋아 발림성이 좋습니다.

(2)   단점:  햇빛에 노출되면 자외선 차단 효과가 감소할 수 있으며, 민감한 피부에 자극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1.7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 

(1)   특징: UVB(=SPF), UVA(=PA) 모두 차단하지만, 특히 UVA 차단에 특화되어 있습니다. 햇빛에 노출 되어도 자외선 기능이 오래 유지됩니다.

(2)   단점: 다른 성분과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가격이 비교적 비싼 편입니다.

1.8  멘틸안트라닐레이트 (Menthyl Anthranilate)

(1)   특징: UVA(=PA) 차단하며, 또한 피부 자극이 적은 편입니다.

(2)   단점: 다른 성분에 비해 자외선 차단 효과가 다소 떨어지는 편입니다.

1.9  벤조페논-3 (=옥시벤존)

(1)  특징 UVB(=SPF)를 주로 차단하며, UVA(=PA)도 어느 정도 차단합니다. 그러나 햇빛에 노출 시 쉽게 자외선 차단 기능이 떨어집니다.

(2)   단점: 햇빛에 노출시 자외선 차단 기능이 쉽게 저하되며, 민감한 피부에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1.10           벤조페논-4

(1)   특징: 벤조페논-3의 업그레이드 버전으로 , 벤조페논-3보다 햇빛에 강한 편입니다.

(2)   단점: 햇빛에 노출시 자외선 차단 기능이 쉽게 저하되며, 민감한 피부에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1.11          벤조페논-8 (디옥시벤존)

(1)  특징: UVB(=SPF)를 주로 차단하며, UVA(=PA)도 어느 정도 차단합니다. 그러나 햇빛에 노출시 쉽게 자외선 차단 기능이 떨어집니다. 피부 발림성이 좋은 편입니다.

(2)  단점: 단점: 햇빛에 노출 시 자외선 차단 기능이 쉽게 저하되며, 민감한 피부에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1.12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Butyl Methoxydibenzoylmethane =아보벤존, Avobenzone)

(1)  특징: UVB(=SPF), UVA(=PA) 모두 차단합니다. 특히 UVA 차단 능력이 뛰어나며 햇빛에 노출되어도 오랫동안 자외선 차단 기능을 유지합니다.

(3)   단점: 다른 성분과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가격이 비교적 비싼 편입니다.

1.13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Bis-Ethylhexyloxyphenol Methoxyphenyl Triazine ; Tinosorb S)

(1)   특징: UVB(=SPF), UVA(=PA) 모두 차단합니다. 특히 UVA 차단 능력이 뛰어나며 햇빛에 노출되어도 꽤 오랫동안 자외선 차단 기능을 유지합니다.

(2)   단점: 가격이 비교적 비싼 편입니다.

1.14          시녹세이트 (Ecamsule)

(1)   특징: UVA(=PA) 를 주로 차단하며, UVB(=SPF)도 어느 정도 차단합니다. 안정성이 높고, 백탁 현상이 적습니다.

(2)   단점: 다른 성분에 비해 자외선 차단 효과가 다소 떨어질 수 있습니다.

1.15          에틸헥실 트리아존 (=Uvinul T 150)

(1)   특징: SPF(=UVB) 차단 할 수 있으며 햇빛에 노출되어도 자외선 차단 기능이 비교적 오랫동안 유지 됩니다

단점: 단가가 비싼 편입니다 

1.16          에칠헥실디메칠파바 (=옥토크릴렌, Octocrylene)

(1)  특징: UVB(=SPF)를 주로 차단하며, UVA(=PA) 도 어느 정도 차단합니다. 피부 발림성은 좋으며 자외선에 강해 햇빛에 노출 시에도 기능이 오랫동안 유지됩니다.

(2)  단점: 햇빛에 노출시 쉽게 기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또한,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1.17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Ethylhexyl Methoxycinnamate=옥티녹세이트) 

(1)  특징: : UVB(=SPF)를 주로 차단하며, UVA(=PA) 도 어느 정도 차단합니다. 흡수력이 뛰어나지만, 광안정성이 낮아 자외선에 의해 분해될 수 있습니다.

(2)  단점: 햇빛에 노출 시 쉽게 기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또한,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1.18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Ethylhexyl Salicylate)

(1)   특징: UVB(=SPF)를 주로 차단하며, 발림성이 좋은 편입니다..

(2)  단점: 햇빛에 노출 시 쉽게 기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또한,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1.19          헥실트리아존 (Ethylhexyl Triazone)

(1)   특징: UVB(=SPF) 차단합니다.햇빛에 노출되어도 자외선 차단 기능이 오래 유지됩니다.

(2)   단점: 가격이 비교적 비싼 편입니다.

(1)  특징: UVB(=SPF)를 주로 차단하며, UVA(=PA) 도 어느 정도 차단합니다. 발림성이 좋은 편이지만,햇빛에 노출 시 쉽게 자외선 차단 기능이 저하됩니다.

(2)  단점 햇빛에 노출 시 쉽게 자외선 차단 기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또한,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1.20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Isoamyl p-Methoxycinnamate)

(1)   특징: UVB(=SPF)를 주로 차단하며, 발림성이 좋은 편입니다..

(2)  단점: 햇빛에 노출 시 쉽게 자외선 차단 기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또한,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1.21  테레프탈릴리덴디캠퍼설포닉애씨드 (Terephthalylidene Dicamphor Sulfonic Acid)

(1)   특징: UVA(=PA)를 주로 차단하며, 물에 잘 녹는 특징이 있습니다..

(2)   단점: 다른 성분과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1.22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포닉애씨드 (Phenylbenzimidazole Sulfonic Acid)

(1)   특징: UVB(=SPF)를 주로 차단하며, 물에 잘 녹는 특징이 있습니다..

(2)   단점: 다른 성분과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1.23          호모살레이트 (Homosalate)

(1)   특징: UVB(=SPF)를 주로 차단하며, 발림성이 좋은 편입니다.

(2)  단점: 햇빛에 노출 시 쉽게 자외선 차단 기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또한,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1.24          4-메칠벤질리덴캠퍼 (4-Methylbenzylidene Camphor)

(1)   특징: UVB(=SPF) 주로 차단하며,: 발림성이 좋은 편입니다..

(2)   단점: 햇빛에 노출 시 쉽게 자외선 차단 기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또한,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반응형

2.     물리적 자외선 차단제 성분

2.1  징크옥사이드(=산화아연, Zinc),

(1)   특징: UVB(=SPF), UVA(=PA) 모두 차단하며 햇빛에도 강해 쉽게 오랫동안 자외선 차단 기능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피부 자극도 거의 없어 민감성 피부도 안전합니다. 또한 징크옥사이드는 피부 진정 및 항염 효과가 있어 피부 진정이 도움이 됩니다.

(2)   단점:  백탁 현상이 있으며, 피부에 발랐을 때 무겁고 답답한 느낌이 날 수 있습니다.

2.2  티타늄디옥사이드(=타이타늄디옥사이드, Titanium) 

(1)   특징: UVB(=SPF), UVA(=PA) 모두 차단하지만 특히 UVB(=SPF) 차단 기능이 좋으며, 햇빛에  노출시에도 오랫동안 자외선 차단 기능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피부자극도 적은 편으로 민감성 피부가 사용해도 괜찮은 편입니다. 또한 징크옥사이드보다 질감이 가벼워 피부에 발라도 상대적으로 덜 무겁고 답답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2)   단점 : 징크옥사이드에 비해UVA(=PA) 차단 효과가 떨어지는 편입니다. 백탁 현상이 있습니다.

3.    내 상황에 참고하면 좋은 성분 정리

3.1  물 놀이 용 자외선 차단제 필수 성분

물에 강한 특징을 가지고 있어 수영이나 땀을 흘려도 효과가 유지되는 성분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 메톡시페닐 트리 아진

에틸헥실 트리아존 (=Uvinul T 150)

호모살레이트

티타늄디옥사이드(=타이타늄디옥사이드)

징크옥사이드(=산화아연)

3.2 민감성 피부에도 비교적 안전한 성분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 메톡시페닐 트리 아진

드로메티르 졸

드로메트리졸트리실록산

멘틸 안트라닐레이트

티타늄디옥사이드(=타이타늄디옥사이드)

징크옥사이드(=산화아연)

3.3   태양 빛에 노출되어도 상대적으로 오랫동안 자외선 차단 기능을 유지하는 성분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 메톡시페닐 트리 아진

드로메트리졸트리실록산

에틸헥실 트리아존

디에틸헥실 부타미도 트리아존

티타늄디옥사이드(=타이타늄디옥사이드)

징크옥사이드(=산화아연)

 

3.4 눈 시림 유발 성분 

벤조페논-3(=옥시벤존)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아보벤존)

에칠헥실디메칠파바(=옥토크릴렌)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옥티녹세이트)

 

 

 

내 피부에 바르는 선크림, 내 상황에 맞는 선크림을 고르는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2024.08.29 - [생활 정보/생활 꿀팁] - 유기자차 VS 무기자차 고르는 방법, 성분, 종류,바르는 방법 및 지속 시간

 

유기자차 VS 무기자차 고르는 방법, 성분, 종류,바르는 방법 및 지속 시간

시중에는 판매되고 있는 자외선 차단제의 종류, 올바른 선크림 바르는 방법 및 지속 시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그리고 자외선 차단제를 바르면 뾰루지 등의 부작용이 나타는 피부는 어떤

moneyspring.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