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절에 만드는 음식은 대표적으로 잡채, 갈비찜, 식혜, 수정과, 각종 전(호박전, 동그랑땡, 삼색꼬치 전, 육전, 동태 전). 고사리, 시금치 그리고 한과(약과, 유과, 강정)등이 있습니다. 또한 추석에는 송편을 빚어 먹고 설날에는 떡국을 만들어 먹습니다. 그런데 모두 매우 칼로리가 높은 음식입니다. 각각의 음식들의 칼로리와 영양 성분을 익혀두시고 적절한 식사로 건강 관리 하길 바라겠습니다.
목차
1. 식사류
1.1 잡채, 갈비찜, 고사리나물, 도라지나물, 시금치나물 영양성분 및 칼로리
1.2 육전, 동태 전, 호박전, 동그랑땡, 고추전, 삼색꼬치 전 영양성분 및 칼로리
2. 간식류
쌀강정, 깨강정,들깨강정,유과,산자,약과 영양성분 및 칼로리
3. 음료
식혜, 수정과 영양성분 및 칼로리
4. 송편
깨송편, 모시 송편, 콩송편 영양성분 및 칼로리
5. 떡국
소고기 떡국, 꿩 떡국, 굴 떡국, 닭 떡국, 사골 떡국, 멜 떡국 영양성분 및 칼로리
영양성분과 칼로리를 확인하기 전에 밥 1 공기는 300~360kcal라는 점을 기억해주시길 바랍니다. 또한, 일반적인 레시피의 영양성분 및 칼로리를 정리한 것으로 레시피에 따라 칼로리 및 영양성분은 조금의 차이는 있을 수 있습니다.
1. 식사류
*영양성분 및 칼로리는 100g 기준입니다. 그리고 100g의 양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100g의 양을 자판기에서 사용되는 종이컵 추가 설명 하였습니다.
1.1 잡채,갈비찜,고사리나물,도라지나물,시금치나물 영양성분 및 칼로리
< 잡채,갈비찜,고사리나물,도라지나물,시금치나물 영양성분 및 칼로리>
영양 성분 | 잡채 | 갈비찜 | 고사리나물 | 도라지나물 | 시금치나물 |
100g당 양(종이컵기준) | 약 1컵 | 약 2~3조각 | 약 1컵 | 약 1컵 | 약 1컵 |
칼로리 (kcal) | 150 kcal | 220 kcal | 60 kcal | 40 kcal | 40 kcal |
탄수화물 (g) | 20 g | 12 g | 10 g | 7 g | 7 g |
단백질 (g) | 5 g | 15 g | 3 g | 2 g | 2 g |
지방 (g) | 7 g | 15 g | 1 g | 0.5 g | 0.5 g |
포화지방 (g) | 1 g | 6 g | 0.1 g | 0.1 g | 0.1 g |
콜레스테롤 (mg) | 30 mg | 80 mg | 0 mg | 0 mg | 0 mg |
1.2 육전,동태전,호박전,동그랑땡,고추전,삼색꼬치전 영양성분 및 칼로리
성분 | 육전 | 동태전 | 호박전 | 동그랑땡 | 고추전 | 삼색꼬치전 |
100g 기준 | 약 2~3개 | 3~4개 | 5~6개 | 약 3~4개 | 2~3개 | 2~3개 |
칼로리 (kcal) | 220 kcal | 190 kcal | 160 kcal | 250 kcal | 180 kcal | 230 kcal |
탄수화물 (g) | 10 g | 9 g | 12 g | 15 g | 12 g | 14 g |
단백질 (g) | 17 g | 16 g | 4 g | 13 g | 7 g | 12 g |
지방 (g) | 13 g | 10 g | 10 g | 15 g | 11 g | 14 g |
포화지방 (g) | 4 g | 2 g | 1.5 g | 4 g | 3 g | 4 g |
콜레스테롤 (mg) | 70 mg | 60 mg | 45 mg | 80 mg | 60 mg | 75 mg |
2. 간식류
식사를 마치고 먹는 간식도 칼로리가 매우 높은데요. 한번 먹으면 계속 먹게 되는 간식들도 칼로리가 매우 높은 편입니다.
* 영양성분 및 칼로리는 100g 기준입니다. 그리고 100g의 양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100g의 양을 자판기에서 사용되는 종이컵 추가 설명 하였습니다.
** 강정의 경우 크기가2~3cm 정도의 한입 크기이고 약과는4~5cm 정도의 일반적으로 판매되는 크기를 기준으로 한 것입니다.
<쌀강정, 깨강정, 들깨강정, 유과, 산자, 약과 영양성분 및 칼로리 >
영양 성분 | 쌀강정 | 깨강정 | 들깨강정 | 유과 | 산자 | 약과 |
100g당 개수 | 약 10개 | 약 10개 | 약 10개 | 약 6~10개 | 약 3~4개 | 3~4개 |
칼로리 (kcal) | 400 kcal | 450 kcal | 500 kcal | 350 kcal | 330 kcal | 380kcal |
탄수화물 (g) | 85 g | 75 g | 80 g | 70 g | 72 g | 70g |
단백질 (g) | 5 g | 7 g | 8 g | 5 g | 5 g | 5g |
지방 (g) | 5 g | 12 g | 20 g | 8 g | 9 g | 12g |
포화지방 (g) | 1 g | 2 g | 3 g | 3 g | 3 g | 3g |
콜레스테롤 (mg) | 0 mg | 0 mg | 0 mg | 15 mg | 20 mg | 30mg |
3. 음료
*식혜와 수정과의 양은 자판기용 종이컵 크기를 기준으로 측정한 것입니다. 보통 한잔을 마실 경우 200ml 이상을 마시기 때문에 기본 100kcal 이상을 마시는 셈입니다.
<식혜, 수정과 영양성분 및 칼로리 >
영양 성분 | 식혜 | 수정과 |
100g당 양 | 약 1/2컵 | 약 1/2컵 |
칼로리 (kcal) | 50 kcal | 80 kcal |
탄수화물 (g) | 12 g | 18 g |
단백질 (g) | 1 g | 0.5 g |
지방 (g) | 0.1 g | 0 g |
포화지방 (g) | 0 g | 0 g |
콜레스테롤 (mg) | 0 mg | 0 mg |
4. 송편
추석에 만들어 먹는 송편은 지역별로 속이 다양합니다. 서울/경기 지역은 송편에 참깨와 설탕을 주로 사용합니다. 강원도 지역은 감자 가루를 반죽에 사용하고, 팥이나 강낭콩을 속으로 넣습니다. 전라도 지역은 송편 속에 밤과 대추를 주로 사용합니다. 경상도 지역은 주로 팥을 속재료로 사용합니다. 제주도 지역은 ‘빙떡’을 만들어 무채를 속으로 넣습니다. 시중에 흔히 팔고 있는 깨 송편은 서울/경기 지역 송편이며, 콩 송편은 전라도 송편, 모시 송편은 경상도 송편입니다
대표적인 송편인 깨/모시/콩 송편의 칼로리 및 영양성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깨송편, 모시 송편, 콩송편 영양성분 및 칼로리>
송편 종류 | 깨 송편 | 콩 송편 | 모시 송편 |
100g당 개수 | 4~6개 | 3~5개 | 4~6개 |
칼로리 | 220 kcal | 200 kcal | 230 kcal |
탄수화물 | 40 g | 39 g | 41 g |
단백질 | 4 g | 5 g | 4 g |
지방 | 5 g | 4 g | 6 g |
포화 지방 | 1 g | 1 g | 1.5 g |
콜레스테롤 | 0 mg | 0 mg | 0 mg |
5. 떡국
서울/경기는 가래떡과 소고기를 사용하여 맑은 국물의 떡국을 끓이며, 달걀지단과 김으로 간단하고 깔끔한 맛을 강조합니다. 경상도는 꿩고기를 사용하여 진한 육수의 떡국을 만들며, 꿩 대신 닭고기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전라도는 신선한 굴을 넣어 깊고 독특한 해산물 맛의 떡국을 끓입니다. 강원도는 닭고기로 국물 맛이 풍부하고 진한 떡국을 만듭니다. 충청도는 사골 국물로 진한 맛을 내며, 오랜 시간 끓여 구수한 육수를 강조합니다. 제주도는 멸치를 사용하여 시원하고 깊이 있는 국물 맛의 떡국을 제공합니다.
< 떡국 영양 성분 (1인분 : 300~400g)>
영양 성분 | 소고기 떡국 | 꿩떡국 | 굴 떡국 | 닭 떡국 | 사골 떡국 | 멜 떡국 |
칼로리 (kcal) | 400 kcal | 450 kcal | 380 kcal | 420 kcal | 500 kcal | 370 kcal |
탄수화물 (g) | 65 g | 60 g | 62 g | 63 g | 60 g | 64 g |
단백질 (g) | 20 g | 25 g | 22 g | 23 g | 22 g | 18 g |
지방 (g) | 10 g | 15 g | 8 g | 12 g | 20 g | 7 g |
포화지방 (g) | 3 g | 4 g | 2 g | 3.5 g | 6 g | 2 g |
콜레스테롤 (mg) | 100 mg | 120 mg | 85 mg | 110 mg | 130 mg | 70 mg |
'건강에 좋은 음식과 영양 성분 > 생활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크림 부작용/눈시림 피하는 방법과 오랫동안 자외선 차단되는 선크림 고르는 방법 (0) | 2024.09.03 |
---|---|
유기자차 VS 무기자차 고르는 방법, 성분, 종류,바르는 방법 및 지속 시간 (0) | 2024.08.29 |
제습기 활용, 구매 요령 및 에어컨 제습 모드와 차이점 (0) | 2023.07.30 |
선풍기 VS 써큘레이터 선택이 어려운 분을 위한 글 (0) | 2023.07.17 |
여름철 에어컨 전기세 절약하는 꿀 팁 (0) | 2023.06.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