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건강검진의 기본 항목인 혈액 검사 중 ALTALT와 AST 수치가 정상 수치보다 높은 경우, 간기능의 문제인지 근육 손상, 심장 질환, 급성 췌장염, 혈관 질환, 약물 부작용등의 문제인지 확인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ALP,GGT,ALP, GGT, 알부민,전신성단백질 검사를 합니다. 그리고 이 검사들 결과에 따라 간 생검, 초음파, MRI, CT검사를 하여 치료 계획을 세우게 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간 기능 검사의 종류와, 절차 및 간 질환 종류와 증상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1. 혈액 검사
ALT, AST, ALP, GGT, ϒ-GTP(=GGT)
2. 요소(=소변) 검사
알부민, 전신성 단백
3. 간질환의 종류
4. 간 생검 (= 간 조직 검사)
5. 영상진단법 (초음파, MRI, CT)
6. 혈액 검사, 요소 검사가 정상이더라도 반드시 추가적 검사를 해봐야 하는 경우
(긴질환 초기 증상)
1. 혈액 검사.
간 기능의 검사로 대표적인 ALT와의 수치가 정상 수치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혈액을 통해 추가적으로 ALP , ϒ-GTP(=GGT) 검사를 하게 됩니다.
** ALT, 와 AST는 지난 포스팅에서 다뤘기 때문에 생략합니다. 궁금하시면 아래 포스팅을 확인하세요.
국가 건강 검진 : 기본 항목 혈액 검사 결과 이해하기
(1) ALP (Alkaline Phosphatase)
ALP는 간과 담도에서 생성되는 효소로 정상 수치 이상 증가하게 되면 간질환, 담도게 질환 중 다음과 같은 질병일 가능 성이 높습니다.
- 간내 담석
- 간 혹은 담도의 종양
- 간염
- 뼈질환
- 간경화증 임신
(2) ϒ-GTP = GGT (Gamma-Glutamyl Transferase)
간에서 생성되는 효소입니다. 알코올로 인하여 수치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정상 수치를 초과한다면 간질환, 담도계 질환을 진단하기 위하여 검사합니다. GGT의 수치가 높다면 다음과 같은 간 질환일 가능성이 높은 편입니다.
- 간염
- 알코올 중독
- 간내 담석
- 간이나 담도의 종양
- 간경화증
- 약물 부작용
(3) 정상 수치
ALP : 성인 남성 40-129 U/L, 성인 여성 35-104U/L
GGT: 성인 남성 9-48 U/L, 성인 여성 7-32U/L
2. 요소 검사
(1) 알부민 (Albumin)
알부민인 간에서 생성되는 단백질로 간 기능의 상태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로 활용됩니다.
알부민의 수치가 정상 수치 이하로 낮아진다면 다음과 같은 간기능 저하와 관련된 질환을 의심
할 수 있습니다.
- 간경변증
- 간 경화
(2) 전신성 단백질 (Total Protein)
알부민을 포함한 혈액 내의 모든 단백질을 의미합니다. 알부민의 수치가 정상 수치보다 높다면 간이 알부민을 합성하지 못하는 질환( 예를 들어 간경변) 일 확률이 높습니다.
cf) 전신성 단백질의 수치가 정상 수치 이하로 낮은 경우에는 탈수, 만성 신부전, 탈모 등가 원인 일 수 있습니다.
(3) 정상 수치
알부민 : 3.5-5.0g/dL
전신성 단백질 : 6.0-8.3g/dL
3. 간 질환 의 종류
(1) 알코올성 간질환
과도한 술을 장기간 지속적으로 섭취할 경우 발생하는 간손상과 간세포 파괴로 인한 간질환을 의미합니다.
(2) 바이러스 간염
말 그대로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발생하는 간염으로 바이러스 종류에 따라 A형, B형, C형, D형, E형 등의 감염이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HBsAg, Anti-HBs, Anti-HBc, HBeAg, Anti-HBe, Anti-HCV 등의 항원 항체 반응 통해 진단합니다.
(3) 지방간
간 내부에 지방이 비정상적으로 쌓이면서 발생하는 간질환으로 비만, 당뇨병, 고지혈증 등이 원인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4) 간경변증
간의 기능이 저하되는 질환으로 알코올성 간질환, 바이러스 간염 등이 원인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5) 간세포암
간세포에서 생긴 악성 종양으로 다른 간질환의 합병증으로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6) 간경화
간질환으로 간세포가 더 이상 정상적인 기능을 할 수 없게 된 경우를 의미합니다. 주로 간 손상이 지속되는 것이 원인입니다.
(7) 그 밖에
간동맥 폐색, 간염성 복막염, 간성 뇌병증 등이 있습니다.
cf) 간 기능이상으로 발생하는 담도계 질환*의 종류
담석, 담도염, 담관확장증, 폐색, 간내담관협착, 원발성 담도염
* 담도란 간에서 생성된 담즙이 췌장으로 이동하기 위한 통로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4. 간 생검( =간 조직검사)
보다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간의 일부 조직을 뗴어 현미경으로 확인하는 검사입니다. 간의 경우 CT, MRI, 초음파 등의 영상진단만으로도 질환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영상진단이 애매할 경우에 정확한 원일을 파악하고자 검사 합니다(즉, 반드시 해야 하는 절차가 아니라 의사가 영상 촬영으로는 정확한 진단이 어려울 경우에 시행합니다.). 다음과 같은 간 질환을 확일 할 수 있습니다.
- 간경변증
- 간섬유화
- 간염
- 간암
cf) 간 생검으로 확인할 수 있는 담도계 질환
담도암, 담석, 담도염 등 담도계
5. 영상진단법(MRI, CT, 초음파)
MRI,CT,초음파는 간 질환의 위치, 크기, 형태 등을 파악하고 진단하기 위한 검사입니다. 환자 개개인의 상황에 따라 의사가 CT,MRI,초음파 중 하나만 촬영하거나 섞어서 촬영할지 판단합니다. 각각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MRI :
간 내부의 조직을 자세히 보기 위한 검사로 CT와 유사하지만 방사선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임산부도 검사 가능합니다. 췌장염, 담도염, 간경병증, 간석증, 간세포암 등을 진단할 때 사용합니다.
(2) CT
간 내부의 구조와 주변 조직과의 관계를 보기 위한 검사입니다. MRI보다 빠르게 검사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췌장염, 담도염, 간경변증, 간석증 등을 진달 할 때 유용합니다.
(3) 초음파
긴 질환(예를 들어 간경화가 얼마나 진행되었는지 확인)이 얼마나 진행되었는지 혹은 낭종이나 종양이 있는지를 알기 위해 간 내부의 구조를 확인할 때 하는 검사입니다.
6. 혈액 및 요소 검사가 정상이더라도 반드시 추가적 검사를 해봐야 하는 경우
혈액 검사(ALT, AST, ALP, GGT), 요소검사(알부민,전신성단백) 검사가 모두 정상으로 나오더라도 다음과 같은 증상이 있다면 간질환 초기 증상일 수도 있으니 반드시 의사와 상담하여 추가적인 검사를 받으셔야 합니다.
- 체중감소
- 구토
- 설사
- 황달
- 복부팽만
간질환 초기의 경우, 증상이 없거나 위의 증상들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초기에는 완치도 가능하기 때문에 조기 검사를 통하여 골든 타임을 놓치지 말아야 합니다.
'건강에 좋은 음식과 영양 성분 >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지혈증 증상, 원인, 진단 방법 (0) | 2024.07.01 |
---|---|
국가 건강 검진 항목, 비용 및 예약 방법 (0) | 2023.08.31 |
당화혈색소 수치 관리의 중요성: 당뇨 환자가 혈당 관리를 해야하는 이유 (1) | 2023.05.16 |
당뇨 의심 증상, 진단 검사 및 당뇨 관리방법 (0) | 2023.05.14 |
국가 건강 검진 (혈액 검사) :혈색소 자세히 알아보기 (0) | 2023.03.08 |